[주식용어] 감자란 무엇인가 (유상감자, 무상감자 완벽정리)

남양주개발자

·

2020. 10. 20. 08:00

728x90
반응형

주식용어정리, 감자란 무엇인가 (유상감자, 무상감자 완벽정리)

주식을 하다보면 회사가 어떠한 사유로 인해 감자를 했다는 뉴스를 간간이 접하곤합니다.

금호석유 자회사 금호피앤비화학, 보통주 147만주 유상감자
유상소각에 연이틀 뛴 쌍용양회우 '투자주의보'
코웨이 판 웅진씽크빅, 배당 확대·유상감자로 주주 달래기 나선다

이처럼 신문 기사에 한번씩 출몰하는 '감자'는 도대체 무엇일까요? 기업은 감자를 하면 어떤 효과가 있길래 감자를 하는 걸까요? 오늘은 감자의 정의와 유상감자, 무상감자에 대해서 상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자란?

감자(減資, reduction of capital)란 경제·회계 용어로 '자본감소(資本減少)'를 줄인 말입니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은 '자본증가(資本增加)'를 뜻하는 증자가 있습니다. 주식쪽 은어로 특정 주식이 감자를 하게 되면 감자탕을 끓인다고 말하곤 합니다.

이 감자 아닙니다..

주식회사나 유한회사가 여러가지 사유로 인해서 자본 총액을 줄이는 것을 뜻하는 말로 감자가 이뤄지는 일반적인 사유로는 회사 정리ㆍ분할ㆍ합병이나 사업 보전 등의 목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과대 자본을 시정하기 위한 목적이 있거나, 한계상황에 이른 회사가 결손을 보전하기 위해서 이루어지는게 보통입니다. 주식시장에서는 이익잉여금 계정의 결손금 등이 지나치게 커져서 자본잠식 위기에 빠지게 되었을 때 무상감자를 통해서 상장폐지 위기를 벗어나려고 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입니다.

유상감자란?

유상감자(有償減資)란 기업 자본금을 줄이는 감자를 할 때(사업 축소) 또는 회사를 합병할 때, 주주들에게 각자 보유한 주식 가격의 일부를 되돌려 주는 것입니다. 감자되는 만큼의 자본금을 주주에게 보상하는 것이고, 기업 재무상태표상으로도 왼편의 자산이 오른편의 자본과 한꺼번에 줄어들게 되어 실질적 감자라고 불립니다. 무상감자는 형식적 감자. 하지만 실제로 유상감자가 이뤄지는 경우는 굉장히 드뭅니다.

유상감자는 현재의 주식회사 규모에 비해 자본금이 지나치게 크다고 판단하여 자본금 규모를 적정하게 줄일 때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단기적으로 공급량이 줄어 기존 주식의 가치가 상승하기 때문에 주가 상승이 발생할 가능성이 큼

단기적으로는 공급량이 줄어 기존 주식의 가치가 상승하기 때문에 주가 상승이 발생하여 호재로 느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줄어든 기업 자본금으로 기업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투자자로써 단순히 '유상감자는 호재다'라고 생각하기 보다는 기업에서 감자 결정을 하게된 이유, 그리고 기업의 재무상태를 파악하고 투자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무상감자란?

무상감자(無償減資)란 기업이 감자를 할 때 주주에게 아무런 보상을 해 주지 않는 것입니다. 유상감자가 실질적 감자라면 무상감자는 형식적 감자죠. 무상증자처럼 재무상태표 상 자본항목만 변동합니다.

무상감자는 재무상태표의 이익잉여금이 0 아래로 떨어져 나타나는 결손금이 너무 많아진 경우, 이 결손을 지워버리고 장래의 이익배당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명의상ㆍ계산상ㆍ형식상의 감자로 불리며, 무상감자의 방식은 크게 두 가지. 주식 수는 그대로 두고 주식의 액면가를 감액시키거나, 주식을 일정 비율로 병합 또는 소각하여 그 숫자를 줄이는 것입니다. 실제로는 액면감액법보다는 주식병합쪽이 감자의 수단으로 많이 쓰이며, 물론 두 방법을 병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감자액이 주식의 매입소각이나 주금(株金)의 환급액 또는 결손의 보전에 충당된 금액보다 많을 경우 그 초과 부분을 전액 자본준비금으로 적립하여야 합니다. 감자는 주주의 이해관계에 변화를 초래하고 회사채권자의 담보를 감소시키게 되므로 주주총회의 특별결의 및 채권자 보호절차를 필요로 합니다. 무상감자를 통해 결손을 지워버리고 남는 돈은 감자차익이라는 자본잉여금 항목에 들어가며, 후에 무상증자로 자본금에 환입되거나 다시 결손이 생길 경우 이를 전보할 목적으로 놔두게 됩니다.

무상감자는 통상적으로 엄청난 악재로 분류되고 있다.

무상감자는 유상감자와 달리 주주가 아무런 보상을 못 받기 때문에 주식시장에서는 엄청난 악재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회사에 투자를 하기 전에 회사를 분석해보고 무상감자를 실시할만한 재무구조를 가진 회사는 피하는게 상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마무리

일반적으로 뉴스에서 감자와 관련된 기사가 나오게 되면 10중에 8,9는 '무상감자'입니다. 그 이유는 자본잠식을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무상감자를 활용하기 때문입니다. 자본잠식에 대한 위험이 있는 회사는 장기적으로 상장폐지에 대한 리스크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이에 유의하시고 투자하셔아합니다.

감자 후 증자를 실시하는 기업들에 투자할 때는 신중하게 투자해야 한다.

보통 무상감자를 시행하면 유상증자가 따라올 가능성이 굉장히 높습니다. 그 이유는 재무구조 개선 효과를 더욱 더 키우기 위해서인데요. 무상감자 후 유상증자를 단행하면 자본잉여금이 더 많이 증가하는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악재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이겠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중 피해를 겪게됩니다.

일반적으로 감자 후 증자(감자와 유상증자)를 실시하는 기업들은 재무적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종목들은 상대적으로 굉장히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신중하게 투자에 임해야됩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 저자에게 암호화폐로 후원하기 💖

아이콘을 클릭하면 지갑 주소가자동으로 복사됩니다